본문 바로가기

2020 인구주택총조사 기간과 참여방법

반응형

코로나19 위기를 이겨나가기 위해서 재난지원금이나 사회적 거리두기 등 다양한 정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생활환경이 급격하게 변해가고 있는 만큼 더 빠르고 적절한 대처가 필요한 시기인데요. 이런 정책들의 기초자료가 되는 인구주택총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0 인구주택총조사란?

인구주택총조사는 국가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생활여건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통계조사입니다.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모든 내/외국인과 주택의 규모와 특징을 알기 위해서인데요.

 

매년 *등록센서스로 인구, 주택, 가구에 대한 통계를 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지역의 경제, 복지 등의 자료를 위해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20%를 선정해 5년에 한 번씩 현장조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등록센서스 : 직접 가구에 방문해서 조사하는 방식이 아닌 주민등록부, 건축물대장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통계를 하는 방식

 

 

2020 인구주택총조사 방법

기본적인 항목들은 행정자료들을 사용하여 수집을 합니다. 여기서 행정자료를 통해 수집하기 힘든 항목들은 국민의 20%를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장조사는 인터넷조사와 방문면접조사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2020 인구주택총조사 항목

조사항목은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맞춰 항목 수를 증가하고 있는데요. 사회의 변화상을 조사항목에 반영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조사항목은 총 56개 항목으로 2015년에 비해 3개가 더 많아졌는데 반려동물, 혼자 산 기간, 마시는 물 등의 항목들이 신규로 추가되었습니다.

 

 

2020 인구조택총조사 기간

인구주택총조사는 인터넷, 전화, 방문조사 3가지 방식으로 실행이 되는데요. 인터넷조사와 전화조사는 2020.10.15~2020.10.31까지 실행을 하고 조사원이 직접 찾아가는 방문조사는 2020.11.01~2020.11.18까지 진행이 됩니다.

 

2020 인구주택총조사 특징

5년에 한 번 진행되는 조사인 만큼 달라진 점도 있는데요. 올해부터는 현장조사를 할 때 종이를 사용했던 기존의 방식을 없애고 태블릿PC를 사용하는 전자조사로 진행이 됩니다. 태블릿PC로 바꾸면서 예산 24억이 절감이 되고, 공표시기도 3개월 단축할 수 있게 되었는데 3년간의 적합성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라고 합니다.

 

그리고 코로나19 대응 방안으로 조사원들이 직접 찾아오는 방문조사가 아닌 인터넷과 전화 그리고 모바일 QR코드를 이용하는 비대면조사를 확대하였습니다.

 

 

2020 인구주택총조사 활용

인구주택총조사라는 이름에 맞게 읍면동 단위의 소지역 단위까지 통계자료를 작성합니다. 이 자료들이 각 지역에서 새로운 정책을 만들때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통계자료는 누구에게나 개방이 되는데요. 민간기관에서 진행하는 연구에 이 통계가 사용되기도 하고 기업의 마케팅 자료에 활용되기도 합니다.

 

2020 인구주택총조사 참여방법

조사 기간 전에 조사 대상자의 가정으로 안내문이 발송됩니다. 조사안내문에 있는 참여번호와 QR코드를 사용해서 모바일이나 컴퓨터로 참여가 가능하고, 무료 콜센터(080-400-2020)로 전화해서 참여할 수 있습니다.

 

기간 안에 참여를 하지 못한 대상자들에게는 조사원 방문조사가 실시될 예정인데 조사원 방문 시에는 조사원이 조사요원증을 차고 있는지, 그리고 태블릿PC에 조사요원증이 있는지 꼭 확인을 한 뒤에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반응형